반응형
인간이 얼마나 자연적으로 괴물같은 존재냐면
1. 에너지 효율이 미쳐있음 : 섭취량 대비 생산효율 극강으로 쓸데없이 덩치만 큰 포식자들과는 격을 달리함.
2. 쪽수 : 집단사냥에 특화된 늑대처럼 인간도 쪽수가 갑인데 협업과 분업까지 해대서 답안나옴, 개미같은거 생각해보면 됨 이기기 쉽지않음.
3. 적당히 큼 : 이게 아주 크면 에너지 소모효율이 거지같고 아주 작으면 쪽수로도 해결이 안되는데 적당히 큼. 진짜 답안나옴
4. 적응력 미침 : 온도, 고도, 압력 등 다른 생명체에게는 치명적인걸 그냥 다 견디고 적응함. 문제는 적응이 1세대 내에서 이루어지는 바람에 오래걸리지도 않음.
5. 도구씀 : 무기로 힘이 더 강한 상대를 쉽게 처리하고. 노하우를 기록해서 후대에 남기고. 식량의 보존처리 방법을 만들고. 약탈로부터 오래 견딜수 있음. 동절기를 견디는 원동력이 여기서 나옴
6. 감정이 격함 : 감정이 무슨 약점처럼 다뤄지는데 사실 감정이 제일 무서운 무기임, 산에 호랑이가 마을사람 잡아죽이면 열받아서 죽창들고 다 뛰어가서 호랑이 잡음. 몇명이 도중에 죽던 감정으로 위험요소를 제거함. 다음세대는 더 안전해졌고 그만큼 더 번식함.
7. 수명 : 일반적인 동물의 수명이 5~15년 사이 인 것을 생각하면 60~90년의 수명은 엄청난 시간이라 세대를 걸친 교육이 가능함
8. 뇌 : 인간의 두뇌는 20%도 안쓴다지만 크기 자체가 커서 지능이 상당히 높음. 위의 모든 것들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음.
반응형
'====재미==== > 유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에서 살아남는 법 (1) | 2023.12.03 |
---|---|
한국 게임계 사건을 본 어느 트위터인 소감 (0) | 2023.12.01 |
T1 법무팀 등장 (0) | 2023.12.01 |
거진 네오플 입장문에 가까운 블라글 (0) | 2023.12.01 |
진지하게 스터디 탈퇴 고민중이다 (0)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