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 https://helpx.adobe.com/kr/premiere-pro/using/auto-reframe.html

비디오 프로젝트 편집을 완료한 후에는 비디오를 자동으로 리프레임하여 다양한 종횡비를 맞출 수 있습니다.

자동 리프레임은 비디오에서 동작을 식별하고 다양한 종횡비에 따라 클립을 리프레임합니다. 이 기능은 Instagram, YouTube, Facebook과 같은 여러 소셜 미디어 채널에 비디오를 게시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이제 소셜 플랫폼에 게시하기 위해 비디오의 크기를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동 리프레임]을 사용하여 정사각형, 수직, 시네마틱 16:9의 시퀀스를 리프레임하거나 4K 이상의 고해상도 콘텐츠를 자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별 클립을 자동으로 리프레임하거나 시퀀스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자동 리프레임 효과를 클립에 추가하기

안내에 따라 연습해 보고 싶으신가요? Premiere Pro에서 프로젝트를 열고 시작해 보세요!

  1. 비디오 효과 > 변형을 선택합니다.

    자동 리프레임 효과를 리프레임하고 싶은 클립으로 드래그합니다. 

    자동 리프레임 효과를 클립으로 드래그
  2. 효과 컨트롤 패널에서 적절한 모션 추적을 선택하여 [자동 리프레임] 효과를 미세 조정합니다. 효과를 적용하는 동안 Premiere Pro는 콘텐츠의 액션을 따라가는 모션 키프레임을 생성합니다. 다음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느린 모션, 보통, 또는 빠른 모션.

     

    느린 모션

    카메라 모션이 없거나 약간만 있는 경우에 적합합니다(예: 인터뷰 영상). 이 컨트롤을 사용하면 결과가 거의 정적이고 클립에 키프레임이 거의 없습니다.

     

    기본값

    대부분의 콘텐츠에 적합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면 자동 리프레임 효과가 동작을 따라가지만 작업이 빠를 경우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빠른 모션

    푸티지에 액션이 많고 [자동 리프레임] 효과가 액션을 따라가도록 할 경우 적합합니다(예: 액션 스포츠, 스케이트보딩 비디오). 여기서 [자동 리프레임]은 움직이는 개체가 항상 프레임 안에 있도록 하며, 클립에 많은 키프레임을 추가합니다.

  3. (선택 사항) 생성한 패스를 덮어쓸 수 있습니다.

  4. (선택 사항) 또한 위치 조정, 리프레임 오프셋, 리프레임 크기, 리프레임 회전 옵션을 미세 조정할 수 있습니다.

  5. (선택 사항) 효과가 적용된 후 클립을 재생합니다. 필요한 경우, [효과 컨트롤] 패널에서 키프레임을 복사 및 편집하여 결과를 세부적으로 조정합니다.

    키프레임 복사 및 편집

전체 시퀀스 자동 리프레임

많은 클립이 포함된 복잡한 시퀀스가 있는 경우, 전체 시퀀스를 자동으로 리프레임하는 것은 더욱 효율적인 옵션입니다.

  1. 시퀀스 자동 리프레임 을 선택합니다. [프로젝트] 패널에서 시퀀스를 선택합니다.

    • 시퀀스 > 시퀀스 자동 리프레임을 클릭하거나
    • [프로젝트] 패널에서 시퀀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컨텍스트 메뉴에서 시퀀스 자동 리프레임을 선택합니다.
    시퀀스를 자동으로 리프레임하는 옵션
  2. 대화 상자가 열리면 대상 종횡비를 사용 가능한 사전 설정 중 선택하거나 사용자 지정 종횡비를 입력합니다.

    선택한 클립 또는 시퀀스를 자동으로 리프레임하는 옵션 선택

    Premiere Pro는 새 종횡비에 맞는 정확한 크기의 복제 시퀀스를 만듭니다. 새 시퀀스의 모든 클립에 자동 리프레임 효과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 복제 시퀀스는 [프로젝트] 패널의 [자동 리프레임 시퀀스] 루트 폴더에 저장됩니다.

  3. [모션 추적] 드롭다운 목록에서 적합한 모션 사전 설정을 선택하여 [자동 리프레임] 효과를 세부적으로 조정합니다. 느린 모션, 기본값또는 빠른 모션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느린 모션

    카메라 모션이 없거나 약간만 있는 경우에 적합합니다(예: 인터뷰 영상). 이 컨트롤을 사용하면 결과가 거의 정적이고 클립에 키프레임이 거의 없습니다.

     

    기본값

    대부분의 콘텐츠에 적합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면 자동 리프레임 효과가 동작을 따라가지만 작업이 빠를 경우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빠른 모션

    푸티지에 액션이 많고 [자동 리프레임] 효과가 액션을 따라가도록 할 경우 적합합니다(예: 액션 스포츠, 스케이트보딩 비디오). 여기서 [자동 리프레임]은 움직이는 개체가 항상 프레임 안에 있도록 하며, 클립에 많은 키프레임을 추가합니다.

  4. (선택 사항) 리프레임된 시퀀스와 함께 원본 모션 조정을 유지하려면 클립 중첩을 적용하도록 선택합니다.

     

    클립을 중첩하도록 선택하면 Premiere Pro에서 모든 비디오 클립을 중첩한 후, 원본 컷 지점 및 트랙 레이어를 기준으로 해당 중첩을 잘라 그래픽과 오디오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 중첩을 선택합니다.

    • 유지하려는 모션이 포함된 기존의 복잡한 키프레임
    • 속도 및 지속 시간 조정이 있는 시퀀스
     
    참고: 

    핸들 미디어가 중첩 클립에 없으므로 클립을 중첩해도 소프트 전환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습니다.

  5. 관심 영역이 여러 개 있거나 빠른 움직임이 포함된 복잡한 시퀀스가 있는 경우, 시퀀스를 리프레임한 후 미세 조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팁과 힌트

자동 리프레임에서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한 모범 사례 팁을 살펴보십시오.

필름화: 추후 다른 미디어에서 푸티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피사체 주위에 공간을 추가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만듭니다.

텍스트 제목 사용: Premiere Pro를 사용하여 제목을 만들 때 자동 리프레임이 가장 잘 작동합니다. 

스틸 이미지 사용: 자동 리프레임은 스틸 이미지에서 작동하지 않습니다. 스틸 이미지를 따로 리프레임하기.

자동 리프레임 효과 한 번만 적용: 자동 리프레임을 여러번 적용할 경우 (특히 중첩된 클립일 때), 비디오 측면의 블랙바와 같은 예기치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동 리프레임]을 다시 적용해야 할 경우에는 기존 클립에 적용해야 합니다.

비디오 튜토리얼: 시퀀스 자동으로 리프레임

전문가의 시연 비디오를 통해 자동 리프레임하는 방법을 확인하세요.

비디오 길이: 2분 11초

 

Premiere Pro의 자동 리프레임을 사용하는 방법

반응형
반응형

출처 : http://soccerline.kr/board/17068799

 

반응형
반응형

마이크를 컴퓨터 단자에 꽂았는데 인식이 안되는 경우나

사용하려는데 녹음이 안되는 경우의 대처 방법 입니다

 

[윈도우에서 진입]

1. 윈도우 오른쪽 하단의 소리로 들어갑니다

2. 마이크 속성 -> 수준에서 음소거를 해제해 줍니다

 

[반디캠에서 진입]

1. 녹화 설정에서

2. 소리 -> 마이크 -> 설정 버튼 클릭

3. 마이크 속성 -> 수준에서 음소거를 해제해 줍니다

 

 

반응형
반응형

포토샵에 AI 합성 기능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1. 편집할 영역을 선택
2. 원하는 키워드 입력
3. 나온 결과로 자동 합성

이제 AI 기술이 보편적 기능이 되어가는 시대가 열리는 것 같네요!

반응형
반응형

가장 스마트한 방법은 여러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하나의 결과물을 창조해 내는 것이다.

대략적인 방법은 이렇다. mp3를 미디파일로 변환한 다음, 미디파일을 오선악보로 변환해 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 

 

순서대로 대략적인 방법을 설명해 보겠다.

 

mp3를 wav로 변환한다. 

방법은 간단하다. http://online-audio-converter.com/ko/라는 사이트에 접속하면 온라인 상태에서 파일을 변환할 수있다.

 

open files을 눌러 mp3파일을 선택한 후, 아래의 wav를 누른 후 convert를 누르면 된다.

 

 

변환된 wav파일을 midi 파일로 전환한다. 이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AKoff Music Composer' 라는프로그램이다. 현재 3.0 버전까지 나와있지만 대부분 2.0버전을 사용한다.

 

wav 파일을 불러온 후 2번을 누른다.

 

불러온 파일의 사운드타입을 정한 후, 기록범위를 설정한다. 1번 start를 누른다.

아래편에서 midi의 악기를 정한다. 나는 리코더를 선택했다. 그리고 2번 Add Track을 누른다.

 

저장위치를 정하고(안 정하면 프로그램의 디폴트 위치) 저장을 누른다.

 

이제 midi파일이 만들어졌다. 그럼 미디파일로 악보를 만들 프로그램을 작동시키자. 

바로 '기타프로5' 라는 프로그램이다. 

 

코드위치 맞추기, 노트길이 맞추기를 설정한 후 불러오기를 누른다.

코드와 노트의 위치 및 길이를 크게하는 거보다 작게하면 보다 디테일한 악보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원음이 높다면 낮은 옥타브로 바꾸기를 선택하면 음이 낮아져 좋다.

 

이런게 나온다.

 

이런 방법으로 나온 최종결과물을 보면, 물론 원래 mp3를 정확하게 채보했다 말하기는 어렵다. 그냥 대략적인 기준음 정도를 제시한다고 보면 맞다. 이 상태에서 자신이 보다 세밀하게 음을 다듬을 능력이 된다면 제대로 된 자신만의 채보된 악보가 만들어질 것이다. 현재까지 나는 이 방법보다 좋은 채보방법을 찾지는 못했다.

 

여기까지가 뚜벅이가간다님의 블로그 내용으로 MIDI까지의 전환 내용입니다

출처 링크 : https://rayhon.tistory.com/221

 

mp3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보하는 방법

내가 가지고 있는 mp3파일의 음악을 악보의 음표로 바꿀 수는 없는 걸까. 인터넷을 수없이 뒤져봐도 선듯 이거다 하는 방법을 찾기는 힘들다. 거의 대다수가 인정하는 해답은 mp3음악을 채보하는

rayhon.tistory.com

 

============================================================

 

안녕하십니까? 구 활력도시의 리더 Luxcell입니다. 오늘은 midi 파일을 8비트로 바꾸는 간단한 방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우선 GXSCC(가시소프트)를 설치하셨다면 실행해주시면 됩니다. 실행하시게 되면 첫번째 사진처럼 이런 창이 뜹니다. 그러면 OK를 눌러서 실행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실행하셨다면 미디파일을 열어야겠죠? 그렇습니다. 두번째 사진처럼 미디파일이 있는 폴더를 띄우시면 됩니다. 미디파일이 있는 폴더를 찾으셨다면 자신이 틀고싶은 미디파일을 선택해서 GXSCC 창으로 드래그하십시오. 그렇게 되면 세번째 화면처럼 음악이 재생되는 상태가 되겠죠?(재생 버튼 따로 누를 필요 없음. 하지만 다시 누르면 처음부터 다시 재생됩니다.)

 

세번째 사진을 잘 보면 위에는 여섯개의 버튼이 있고 그 아래에는 미디파일 내부에 있는 채널들이 나열되어있을 것입니다. 여섯개의 버튼 중 앞의 4개는 금방 아실테지만, 재생 - 빠르게(2,3배속 지원) - 일시정지 - 정지(정확히는 미디파일 닫기)이며 나머지 둘은 Authoring(wav로 저장), config(옵션)입니다. 여기서 제일 오른쪽에 있는 config 버튼을 누르시면 네번째 사진처럼 창이 뜹니다. 여기서 출력장치, 출력 음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버퍼링 시간 조절도 됩니다. 파일 저장이 목적이라면 버퍼링 시간을 기본값으로 하시는 것을 권장하고, 순전히 음원 재생만이 목적이라면 버퍼링 값을 낮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아까 세번째 사진에서 채널이 주욱 나열되어있다고 했는데, 특정 채널의 음원을 음소거하려면 MUTE/POLY부분을 보시면 됩니다. 1포트 당 16개의 채널로 이루어졌으니 음소거를 원하는 채널이 있다면 그 채널의 상단에 있는 동그라미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동그라미가 흰색에서 검정으로 바뀌면 음소거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다시 소리를 살리고 싶다면 그 동그라미를 다시 눌러서 흰색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wave에 보시면 악기마다 파형이 다르게 나타납니다.(가끔 다른 악기인데 파형이 같은 경우도 존재) 다만, 10번 채널은 Drum으로 표시되어있다는 점. 음원이 재생되면 채널의 음균형이나 미디에서의 음색(PC라고 된 부분의 번호를 볼 것)도 파악할 수 있으며 피치 조절 여부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변환된 음원을 저장하고 싶으시다면 오른쪽에서 두번째 버튼을 누르면 미디파일을 열었던 폴더에 변환된 음원이 저장됩니다. wav파일은 필요에 따라 골드웨이브 등의 음원 편집 프로그램에서 편집하시거나 mp3파일 등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는 점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GXSCC 로고 반복 클릭 시 GXOPLL?! 모드(2OP(YM2413 사양) FM 에뮬레이션) 진입도 가능합니다
YM2413도 엄연히 8비트 게임기(세가 마스터 시스템 일본판/MSX FM-PAC/코나미 라그랑주 포인트 패미컴 카트리지)에 들어갔으므로...

문제점은 어떤 미디 파일을 넣어도 단번에 구분 가능할 정도가 되겠네요

 

출처 : https://midiex.net/lecture/425

 

아주 쉽게 손쉽게 8비트 음원 만들기 > 음악 강좌 | 미딕스 :: 아마추어 뮤지션 작품발표, 음악인

안녕하십니까? 구 활력도시의 리더 Luxcell입니다. 오늘은 midi 파일을 8비트로 바꾸는 간단한 방법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우선 GXSCC(가시소프트)를 설치하셨다면 실행해주시면 됩니다. 실행하시게

midiex.net

 

한번에 모아 놓을 글이 없어서 모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 https://blog.naver.com/day_soft

반응형

'====제작==== > 프로그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샵 AI 배경 생성, 합성 기능  (0) 2023.05.24
MP3 -> WAV -> MIDI -> 8bit 음악으로  (0) 2023.05.15
애니메이트CC(구: 플래시)  (0) 2023.04.04
포토샵 사용 팁  (0) 2023.04.04
소스트리 사용 팁  (0) 2023.04.03
반응형

 

장점: 고화질, 알파로 png 소스 뺄 수 있음
1. 패키지: Unity 레지스트리
2. Recorder 검색 및 설치
3. +Add Recorder 에서 Image Sequence 나 Movie 추가
4. 세팅, 폴더 지정 후 녹화
 
알파 있는 png소스 뽑기
1. Add Recorder -> Image Sequence 모드
2. Capture - Source - Targeted Camera 모드
3. Include Alpha 체크(Game View 모드에서는 활성화가 안됌)
4.하이어라키의 카메라 배경색을 단색 모드로 - 배경색에서 Alpha를 0으로
반응형
반응형



유니티 사용 중 브랜치를 합치다가 미싱이 뜨는 일이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소스트리 사용으로 브랜치를 나누고 있었다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1. 미싱이 뜬 브랜치로 유니티 열기

 

2. 미싱이 뜨지 않은 브랜치로 유니티를 열기

 

3. 미싱이 뜨지 않은 브랜치의 연결된 이미지를 확인하며

    미싱 뜬 브랜치에서 이미지를 그대로 똑같이 연결해줍니다

 

간단하지만 발상의 전환을 하지 않으면 하나하나 파일을 열어가며

뭐가 쓰였는지 유추해야 하는 극한의 작업이 될 수 있는 내용이기에 공유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190402 면 외각에 선 추가하기 : 면 선택 > properties 창 > fill and stroke > create object 아이콘 클릭 > color 창 > 펜슬에 컬러를 지정해줌

반응형
반응형

171122 포토샵 선 켜기, 끄기 Ctrl + H

 

171123 포토샵 해당 레이어 빼고 다 끄기 Alt + 클릭

 

171126 ***포토샵 앱

ㄴ3D map generator / Game map generator =포토샵에서 맵을 그리기 쉽게!

ㄴGame map generator

 

171218 포토샵 이미지 분리할 때 그라데이션 없이 픽셀로 잘라내기.-> 올가미 도우 탭의 앤티 앨리어스 체크 해제

 

171227 플래시 그림 로드하면 다운 -> 크리에이티브센터말고 프로그램 자체 실행기로 실행

 

171227 일러스트레이터 바법봉으로 선택하면 같은 색만 선택 됌 -> ?컬러 누르고 원하는 새긍로 변경 가능

 

180329 포토샵 컨트롤 + 쉬프트 + [ or ] 로 레이어 이동 // 컨트롤 + J로 레이어 복사

 

180531 포토샵 용량 클때

1. 스마트오브젝트 ->레스터화(Rasterrize Layer)

2. 새 파일에 레이어 복사

3. 복사된 포토샵 파일 저장

 

180417 일러스트레이터 -> 플래시 로 변환 // 일러스트레이터에서 해당 부분 선택하고 ctrl + c -> 플래시로 넘어와서 ctrl + v

 

180509 포토샵 필터 픽셀화 -> 단면화 = 블러부분은 연필브러쉬로 그린 것 처럼

흐림효과 -> 표면흐리게 = 웹툰이나 붕괴3의 흐림 필터 효과?

 

180514 일러스트레이터 가져오고 싶은 부분을 직접 선택 도구(A)로 선택 후 ctrl + c -> 포토샵으로 넘어와서 ctrl + v -> 모양레이어(S)로 붙여넣기

 

180822 포토샵 폴더 레이어의 passThrough(폴더 전용) 블렌딩으로 머지하면 완전 변하는 문제. -> 폴더를 레이어 그룹 해제 시킬것.

https://blog.naver.com/kumoyoung/220274483991

 

180830 포토샵 쓰인 폰트 역추적 하기 window -> character(문자) 켜놓고 해당 텍스트 선택

 

190208 포토샵 스마트 오브젝트 드래그시 크기가 변하는 문제 -> Ctrl + T로 100%로 변환

 

190212 포토샵 자유변경이 켜있는 생태에서 드래그하면 픽셀이 깨짐

 

190514 포토샵 블렌딩된 파일 그대로 소스화시키기 -> 해당소스들 선택하고 -> 듀플리케이트/ 뉴 -> 새로운 창에서 해당 부분 복사/붙여넣어서 소스화시킴

 

190515 포토샵 검은 배경 없애시고 싶으신거면 -> select-color range로 블랙 선택후 제거하는 방법

 

191010 포토샵이 느리다면 용량 버그가 생기지 않았는지 확인

 

191015 포토샵 커스텀 셰입 툴에서 상단 탭 Shape 모양에서 전체 보기 -> 태엽 -> All *포토샵 기본 모양백터 다 나옴

 

191031 포토샵 알파있는 PNG RGB+alpha로 랜더링

 

191031 포토샵 simple choker : 끝을 부드럽게 뭉게고 옆에 뭐가 있으면 붙임(물 흐르는 효과)

 

191226 포토샵 file/scripts/load file in to stack... = 알파가 살아있게 폴더 선택 -> 레이어 별로 불러옴

 

200720 포토샵 웹용으로 저장할 때 PNG-24로 할 것 / PNG-8로 하면 외각선에 하얀색 묻어나고 인덱스속성이 됌

 

200724 포토샵 (블랙)배경이랑 합쳐진 이펙트 리소스의 이미지 떼기 : 채널 -> Ctrl+LMB로 선택영역 -> 새레이어 추가 -> 색 칠하기

 

200807 포토샵 DPI 해상도는 디지털 파일에서는 차이 없음 ( 66x66 픽셀 크기만 같으면 해상도가 달라도 크기는 같음. 다만 용량은 다름)

ㄴ해상도가 다른 파일에 합쳐야 할 때 66x66 300해상도 파일은 해상도72로 바꿔주고 같이 줄어든 픽셀 크기를 66x66으로 수정해주면 됌

 

220512 일러스트레이터 오브젝트 3D로 만들기

https://www.youtube.com/watch?v=54fcOD-DUiI

 

반응형

+ Recent posts